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bandit] bandit3 -> bandit4

리눅스/bandit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2023. 4. 22. 09:56

본문

우선 overthewire 페이지를 해석해 보겠습니다.

overthewire 페이지에는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inhere 디렉토리 안에 히든 파일에 숨겨 있어" 라고 써져 있네요.

그럼 한번 분석해 보겠습니다. 첫번째로, 저번에 배운 ls 명령어로 파일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 하겠습니다.

 

bandit3@bandit:~$ ls
inhere

아주 잘되네요. 여러분은 아마 파란색깔로 inhere이 되있을것입니다. 한번 inhere 디렉토리(폴더)안에 들어가 보겠습니다.

폴더 안에 들어갈려면 cd 라는 명령어를 써야 합니다. cd라는 명령어를 잠깐 설명하면....

 

CD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A라는 폴더에서 B라는 폴더를 이동할때는 쓰는 명령어 입니다.

CD도 ls와 쓰는 방법이 비슷한데, CD [옵션] [이동할 파일] 입니다.

CD의 옵션은 아래와 같은게 있습니다.

  1. cd [디렉토리 경로]: 지정한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2. cd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3. cd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4. cd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5. cd /: 최상위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6. cd ./[디렉토리 이름]: 현재 디렉토리 내의 지정한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7. cd -P: 링크가 걸린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실제 경로를 이용해 이동합니다.
  8. cd -L: 기본적으로 cd 명령어는 심볼릭 링크가 가리키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지만, 이 옵션을 사용하면 링크를 따라가지 않고 직접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자주 사용하는것은 이정도가 있습니다.

이제 본론으로 돌아 가겠습니다.

 

그럼 cd 명령어로 inhere 폴더안에 들어가겠습니다.

bandit3@bandit:~$ cd inhere
bandit3@bandit:~/inhere$

이런 식으로 되실것입니다. 그러면 안에 무슨 파일이 있는지 확인해 볼까요? 아마도 아래와 같이 뜰것입니다.

bandit3@bandit:~/inhere$ ls
bandit3@bandit:~/inhere$

이런식으로 아무 파일이 없다고 뜨네요. 근데 분명히 히든 파일이 있다 했잖아요??

그 히든 파일을 확인하는 것은 바로 ls 명령어에 -a 옵션을 더하는 것 입니다.

그럼 한번 해보겠습니다. 

bandit3@bandit:~/inhere$ ls -a
.  ..  .hidden

이런식으로 .hidden 파일이 있네요. 저 파일을 cat으로 읽어보면....

비번이 2EW7BBsr6aMMoJ2HjW067dm8EgX26xNe 라고 뜰것 입니다.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한번더 살펴보면...

bandit3@bandit:~$ ls
inhere
bandit3@bandit:~$ cd inhere
bandit3@bandit:~/inhere$ ls
bandit3@bandit:~/inhere$ ls -a
.  ..  .hidden
bandit3@bandit:~/inhere$ cat .hidden
2EW7BBsr6aMMoJ2HjW067dm8EgX26xNe
bandit3@bandit:~/inhere$

이런식으로 되겠네요^^

정리

폴더를 이동하는 명령어는 CD 이고 히든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는 ls -a 이다.

'리눅스 > band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ndit] bandit0 -> bandit1(ls,cat)  (0) 2023.04.24
[bandit] bandit5 -> bandit6  (0) 2023.04.23
[bandit] bandit4 -> bandit5  (0) 2023.04.22
[bandit] bandit2 -> bandit3  (0) 2023.04.21
[bandit] bandit1 -> bandit2(절대경로, 상대경로)  (0) 2023.04.21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