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linux 명령어 정리

[리눅스 명령어 정리] find 명령어 사용법과 옵션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2023. 4. 26. 06:56

find 명령어를 한줄로 설명하면, "옵션을 추가해 그 옵션에 맞는 파일을 찾아주는것"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find 명령어의 사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find [옵션] [옵션에 대한 설명] [파일을 찾을 위치]

 

find의 옵션을 알아 보겠습니다.

 

1. -name: 파일 이름으로 검색합니다.

┌──(root㉿kali)-[~/blog/findTest]
└─# find -name test1
./test1

위와 같이 이름이 test1인 파일의 위치를 알려준다.

 

2. -type: 파일 타입으로 검색합니다. (f: 일반 파일, d: 디렉토리, l: 심볼릭 링크)

┌──(root㉿kali)-[~/blog/findTest]
└─# find -type d    
.
./test2
./test4

type을 d 라 했으니 디렉토리만 나온것 이다.

 

3. -mtime: 파일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으로 검색합니다.

-mtime +n: n일보다 더 이전에 수정된 파일을 검색합니다.
-mtime n: 정확히 n일 전에 수정된 파일을 검색합니다.
-mtime -n: n일 이내에 수정된 파일을 검색합니다.

 

4. -user: 파일의 소유자로 검색합니다.

┌──(root㉿kali)-[~/blog/findTest]
└─# find -user root
.
./test2
./test5
./test1
./test3
./test4

만든 사람이 user 입니다.

 

5. -group: 파일의 그룹으로 검색합니다.

┌──(root㉿kali)-[~/blog/findTest]
└─# find -group root
.
./test2
./test5
./test1
./test3
./test4

 

6. -size: 파일 크기로 검색합니다.

find -size [파일의 크기]

 

7. -exec: 검색 결과를 대상으로 실행할 명령어를 지정합니다.

 find [검색 경로] [검색 조건] -exec [실행할 명령어] {} \;

검색 경로 : 앞에서 배운 -name, -type 같은것
검색 조건 : 검색 경로의 인자
실행할 명령어 : rm, mv 같은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