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공부하는 학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킹 공부하는 학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4)
    • 네트워크 (19)
      • 네트워크 프로토콜 (2)
      • 네트워크 용어 (2)
    • 암호 (1)
    • 컴퓨터 구조 (5)
      • 운영체제(OS) (2)
      • 리눅스의 중요한 개념 (1)
    • 리눅스 (47)
      • 노말틱 비기너 클래스 (2)
      • linux 명령어 정리 (19)
      • bandit (25)
    • 프로그래밍 언어 (19)
      • 파이썬 (14)
      • 자바스크립트 (5)
    • 프로젝트 (0)

검색 레이어

해킹 공부하는 학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bandit] bandit24 -> bandit25

    2023.07.19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노말틱 비기너 클래스] 1기 1주차(배운것)

    2023.07.18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운영체제] 커널 이란? 구조/종류 까지 총정리!!

    2023.07.16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bandit] bandit23 -> bandit24

    2023.07.16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리눅스 명령어 정리] echo 개념/사용법

    2023.07.14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bandit] bandit22 -> bandit23 풀이

    2023.07.12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bandit] bandit21 -> bandit22

    2023.07.11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리눅스 명령어 정리] Cron 개념/사용법

    2023.07.11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bandit] bandit24 -> bandit25

안녕하세요 오늘은 bandit24를 풀어 보겠습니다. 페이지 해석 흠... 뭔가 해석이 이상하게 되긴 하지만.... 우선 "데몬은 30002 포트에서 대기 중이며, bandit24의 비밀번호와 pin 코드를 나에게 주면 bandit25의 비밀번호를 알려줄꺼야!! 하지만 pin코드는 10000까지 숫자중 하나지 ㅋㅋ"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문제 풀기 우선 nc를 이용해 30002 포트가 어떤 구조 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쪽에서는 bandit25의 ckecker 이고 bandit24의 비밀번호랑 pin 코드를 쓰면 비밀번호를 알려주는곳 이네요. 근데 문제에세는 pin코드가 얼만큼 긴지를 설명해주었습니다. 바로 10000 밑에 숫자 이지요. 그럼 저희는 어떻게 풀수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파이썬을 사용하면 ..

리눅스/bandit 2023. 7. 19. 06:51

[노말틱 비기너 클래스] 1기 1주차(배운것)

안녕하세요 오늘부터는 비기너 클래스를 시작하고 배운것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배운것들 cli , ls ,cat ,vi ,mousepad, uid, /etc/passwd/, etc/shadow, hash, 크리덴셜 스터핑, grep , netstat, ssh, rsh, tryhackme 배운것들 정리 CLI란? CLI는 텍스토로 컴퓨터 한테 명령어를 내리는 작동 방식을 CLI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CLI는 쉘에서 작동 하고 쉘에서는 입력과 출력으로 작동됩니다. ls -> https://halinstudy.tistory.com/10 ls는 리눅스 명령어중 하나로 대부분 특정한 경로에 무슨 디렉토리와 파일이 있는지 확인할때 쓰인다. cat -> https://halinstudy.tistory.com/11 c..

리눅스/노말틱 비기너 클래스 2023. 7. 18. 07:08

[운영체제] 커널 이란? 구조/종류 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커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커널이란? 커널은 운영체제에서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컴퓨터의 하드웨어들을 관리하는 역활을 합니다. 이 커널은 user와 대화를 할수 없으며, 컴퓨터의 관련된 일만 할수있습니다. 그래서 user와 대화하기 위해서는 쉘(shell)을 사용합니다. 커널의 구조 커널의 구조는 5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여기서 커널의 구조는 여러가지 자원을 관리하는 매니저들 입니다!! 이런식으로 커널은 5가지 종류로 나눌수있습니다. 그리고 이 커널의 관리자들의 기능을 쓰는 이유는 많은 사용자에게 각각 하드웨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끔 잘 사용하게 만드는역활을 합니다. 커널의 종류 커널의 종류를 2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모놀로식 커널 모놀로식 커널은 대부분 기능이 커널에 집중되어..

컴퓨터 구조/운영체제(OS) 2023. 7. 16. 20:56

[bandit] bandit23 -> bandit24

안녕하세요 오늘은 bandit23을 풀어 보겠습니다 페이지 해석 cron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 입니다. 이번에는 당신이 직접 쉘을 만드르셔야 합니다 그리고 잘 만들었다면 자랑스러워 하세요. 풀이 우선 /etc/cron.d 디렉토리로 이동해 보겠습니다. 이제 저희는 bandit24로 갈거니까 bandit24에 관련된 파일을 열어 보겠습니다 이제 늘 그러던데로 매분 매초 매시 마다 실행되는 쉘을 읽어 보겠습니다. 저희는 여기서 echo를 집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echo 뒤에는 이렇게 출력 되있네요. "/var/spool/$myname/foo 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는 모두 삭재된다" 그럼 저희는 그 디렉토리로 가보겠습니다. 음... 안되네요? 그럼 myname이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왜 안되지? 그럼 상..

리눅스/bandit 2023. 7. 16. 11:36

[리눅스 명령어 정리] echo 개념/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echo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cho 명령어란? echo 명령어는 c언어에서는 printf, 파이썬에서는 print와 비슷한 일을 하는 명령어 이며,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출력할때 쓰입니다. echo 명령어의 사용법 이제 echo명령어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cho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echo [출력하고 싶은 텍스트] 이제 echo명령어를 응용해서 사용하는것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리다이엑션으로 echo명령어 출력결과를 저장하기 이런식으로 한면 파일에 echo 명령어의 출력결과를 저장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파일에 덮어 쓰고 싶다면 꺽세(>)를 하나 더 붙이면 됩니다. 2. 변수를 출력하기 저희 쉘에서는 변수라는것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링크..

리눅스/linux 명령어 정리 2023. 7. 14. 06:16

[bandit] bandit22 -> bandit23 풀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bandit22를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페이지 해석 "/etc/cron.d파일 안에서 어떤 명령어가 실행중인지 알아보세요, 참고: 다른 사람이 만든 쉘스크립트르 보는것은 매우 유용한 기술 입니다" 풀이 저번 문제랑 비슷한것 같은데 이번문제는 출력된것을 잘 이해 해야지 풀수있는 문제 인것 같습니다. 우선 문제에서 힌트를 준 /etc/cron.d 파일로 가보겠습니다. 저희는 bandit23으로 갈거니까 bandit23파일을 읽어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매분 매초 매시 마다 /usr/bin/cronjob_bandit23.sh 파일로 이동하네요. 이제 여기서 중요합니다!! 저도 여기서 많이 해맸는데요. 여기 myname이랑 mytarget이 변수처럼 있습니다. 우선 myname이 whoami..

리눅스/bandit 2023. 7. 12. 07:05

[bandit] bandit21 -> bandit22

안녕하세요 오늘은 bandit21 -> bandit22를 해보겠습니다 페이지 해석 그 계정안에는 cron으로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etc/cron.d 안에 있다. 문제 풀이 우선 페이지에서 준 /etc/cron.d라는 디렉토리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bandit21@bandit:~$ cd /etc/cron.d 이제 안에 무슨 파일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겠습니다. bandit21@bandit:/etc/cron.d$ ls cronjob_bandit15_root cronjob_bandit22 cronjob_bandit24 e2scrub_all sysstat cronjob_bandit17_root cronjob_bandit23 cronjob_bandit25_root otw-tmp-dir 이제 이쪽에서 저희는 어떤 ..

리눅스/bandit 2023. 7. 11. 06:48

[리눅스 명령어 정리] Cron 개념/사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cron에 개념/사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cron 이란? cron은 유닉스 계열의 시간별 작업 스케줄러 입니다.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몇시에 이걸 해야하고 저 시간엔 저걸 해야 되는 일이 생기는데 그런일을 도와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현재 저희 컴퓨터 세계에는 많은 작업 스케줄러들이 있는데 cron을 사용하는 이유는 유닉스 계열에서 타자 몇개 치는걸로 쉽게 사용할수있기 때문입니다. cron 사용법 crond은 일곱자리로 구성 됩니다(초, 분, 시간, 일, 월, 요일, 년도) 그리고 cron은 정규 표현식와 비슷하게 별도의 특수문자가 있는데 이걸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 모든 값을 뜻합니다. ? : 특정한 값이 없음을 뜻합니다. - : 범위를 뜻합니다. (예) 월요일에서..

리눅스/linux 명령어 정리 2023. 7. 11. 06:2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7 8 ··· 12
다음
TISTORY
해킹 공부하는 학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