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공부하는 학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해킹 공부하는 학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94)
    • 네트워크 (19)
      • 네트워크 프로토콜 (2)
      • 네트워크 용어 (2)
    • 암호 (1)
    • 컴퓨터 구조 (5)
      • 운영체제(OS) (2)
      • 리눅스의 중요한 개념 (1)
    • 리눅스 (47)
      • 노말틱 비기너 클래스 (2)
      • linux 명령어 정리 (19)
      • bandit (25)
    • 프로그래밍 언어 (19)
      • 파이썬 (14)
      • 자바스크립트 (5)
    • 프로젝트 (0)

검색 레이어

해킹 공부하는 학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네트워크] Packet

    2023.05.23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네트워크] TCP/UDP

    2023.05.22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네트워크] 프록시(Proxy) 란? (Forward proxy, Reverse Proxy)

    2023.05.21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bandit] bandit14 -> bandit15

    2023.05.20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리눅스 명령어 정리] Netcat

    2023.05.19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네트워크] Port

    2023.05.18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네트워크] localhost

    2023.05.18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 [bandit] bandit13 -> bandit14

    2023.05.17 by 해공학(해킹을 공부하는 학생)

[네트워크] Packet

코딩 이나 네트워크를 좀 공부하신 분들 이라면 Packet이라는 단어를 한번쯤은 들어보셨슬겁니다. 저도 그냥 넘어 가다가 자주 공부하는데 나와가지고 한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Packet이란? packet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작은 단위 및 규칙 입니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때, 원본 데이는 작은 조각으로 분리 되어 패킷 형태로 전송 됩니다. 각 패킷에는 목적지 주소, 출발지 주소, 패킷 번호, 데이터 조각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면 여러분이 만약 소파를 샀다고 가정해보면, 소파를 한번에 들고 오지 않고 따로 따로 나눠서 호율적이게 가저 옵니다. 그게 바로 packet입니다. 이런식으로 packet을 쓰는 이유는 효율적이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

네트워크 2023. 5. 23. 07:07

[네트워크] TCP/UDP

*가 있는것은 나중에 블로그에 올린다는 뜻입니다. TCP와 UDP모두 둘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종류중 하나이며, 컴퓨터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입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영어를 그대로 한국어로 바꿔보면 "전송 제어 프로토콜" 입니다. tcp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신뢰성과 순서 보장에 중점을 둡니다.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보내고 패킷을 받은 상대방이 응답하는 방식으로 통신합니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연결을 종료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러한 Tcp 속성으로 웹 브라우징, 이메일, 파일전송 등과 같은 데이터의 정확성과 순서가 중요한 응용 프로그램에 주로 사용됩니다 좀... 길게 설명..

네트워크 2023. 5. 22. 21:31

[네트워크] 프록시(Proxy) 란? (Forward proxy, Reverse Proxy)

우선 프록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록시란? 프록시(Proxy)는 영어 사전적 의미로 대리를 의미하며, 컴퓨터적 용어로는 클라이언트랑 서버가 직접 통신을 하지 않고 "프록시 서버"가 중계를 해주는것을 Proxy라고 한다. 이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면 보안, 트래픽 분산을 도와준다. 프록시 서버에는 두종류가 있습니다. Forward proxy, Reverse Proxy가 있습니다. 우선 저희는 Forward proxy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워드 프록시(Forward proxy)란? 포워드 프록시는 사전적의미로 "대리 전달"이며, 컴퓨터적 의미로도 클라가 서버에게 직접 요청하는게 아니라 포워드 프록시가 클라가 원하는 것을 입력 받고 그것을 서버에게 요청한후 그것을 다시 받아서 클라에게 주는것 입니다...

네트워크 2023. 5. 21. 10:24

[bandit] bandit14 -> bandit15

Overthewire 페이지를 해석 해보겠습니다. "localhost의 포트 30000에 제출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말은 즉슨 localhost:30000에 접속해라 라는 뜻입니다. 저희는 이문제를 풀기 위해 ncat이라는 리눅스 유럴리티를 쓰겠습니다. 무조건 보고 와주세요!! ncat : https://halinstudy.tistory.com/38 이제 다 보고 오셨다면, 시작하겠습니다. bandit14@bandit:~$ nc localhost 30000 fGrHPx402xGC7U7rXKDaxiWFTOiF0ENq Correct! jN2kgmIXJ6fShzhT2avhotn4Zcka6tnt 여기서 fGrHPx402xGC7U7rXKDaxiWFTOiF0ENq는 직접 치셔야 아래것..

리눅스/bandit 2023. 5. 20. 12:55

[리눅스 명령어 정리] Netcat

netcat, 또는 줄여서 nc는 TCP/UDP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연결을 읽거나 기록하는 컴퓨터 네트워킹 유틸리티 입니다. Netcat은 우리가 사용하는 운영채제(윈도우,리눅스,Mac os)에서 다 사용할수있다. Netcat을 사용하여 열린포트 감시, 데이터 전송, 프록시로 사용하는 작업, 네트워크 연결을 디버그 및 모니터링 할수있습니다.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nc [옵션] [host] [포트] 다음으로, ncat의 옵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l [포트] : 이것은 대부분 서버 컴퓨터에서 이 명령어를 쓰며, 뒤에 포트를 열어주는 역활을한다. nc -l [포트] 2. -e [실행 파일] : -l 옵션을 대부분 함께 사용하여, 만약 연결이 된다면 뒤에 실행 파일을 실행 한다. nc -l [포..

리눅스/linux 명령어 정리 2023. 5. 19. 07:09

[네트워크] Port

Port란 포트는 특정 네트워크 통신에서 프로세스가 특정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기 위한 통로 입니다. 좀 풀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지금 한 컴퓨터 안에서 게임, 웹 브라우저, kali linux가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저번 저의 계시물을 보고 오셨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저희 컴퓨터는 한 ip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제가 게임을 시작 할려고 게임 시작 버튼을 눌렀습니다. 그래서 신호가 서버 쪽으로 갔습니다. 그래서 서버가 "방 찾았어. 아까 그 컴퓨터 주소로 가야지" 하고 저의 ip주소 로 딱 옵니다. 하지만 저의 컴퓨터에는 3가지 프로그램이 실행중 입니다. 그래가지고 게임은 어디에다가 신호를 주어야 하는지 모르는 겁니다. 그래서 만들어진것이 한컴퓨터 안에서 어..

네트워크 2023. 5. 18. 07:09

[네트워크] localhost

여러분이 프로그래밍을 조금 이라도 공부 하셨다면 localhost라는 말을 들어보셨을겁니다. 오늘은 이 localhost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localhost란 localhost는 자신의 ip주소를 가리킵니다. 그니까 다시 한번 풀어 설명하면 localhost는 자신의 컴퓨터를 의미하는것 입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루프백 호스트명 이라 나와 있습니다. 루프백 이란 루프백 주소란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는 특변한 IP주소 입니다. 호스트 기기 자체를 가리키는 가상의 주소로,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도 자신에게 데이터를 보낼수있게 해줍니다. 일반적으로 루프백 주소는 127.0.0.1이고 항상 동일 합니다. 이 루프백 주소를 사용하면 localhost에서 실행중인 네트워크 서비..

네트워크 2023. 5. 18. 06:46

[bandit] bandit13 -> bandit14

"다음 레벨을 위한 암호는 /etc/bandit_pass/bandit14 안에 있습니다. 이곳을 볼수있는 사용자는 bandit14만 볼수있습니다. 다음 수준에 대한 암호는 알지 못하지만, 다음 로그인 할때 사용할수있는 ssh 키는 가지고 있습니다" 이 말이 무엇이냐면"다음 암호를 알려면 경로에 들아가야하는데 그경로에 들어갈려면 bandit14에 들어가야되고,bandit14의 비밀번호는 알수없지만, ssh 키는 가지고 있어"라고 말하고있는거랑 똑같습니다. 근데 한번 문제를 풀기전에 알아야할것을 한번 보겠습니다.바로 ssh 입니다. SSH 란 ssh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컴퓨터에 로그인을 하거나, 원격 제어를 하게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ssh와 ssh명령어에 대한것(무조건 보고 와주..

리눅스/bandit 2023. 5. 17. 07:1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
TISTORY
해킹 공부하는 학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